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행렬’로 쓰는 이유

여럿이 서 있는 줄을 가리켜 ‘행열’이라고 써야 하는 게 아닌가 하고 고개를 갸웃하는 사람이 있다. ‘行列’을 ‘행열’로 읽어야 할지, ‘행렬’로 읽어야 할지 헷갈린다는 이가 많다.   한글 맞춤법 두음법칙 조항을 보면 한자음 ‘랴·려·례·료·류·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 ‘야·여·예·요·유·이’로 적는다고 되어 있다(량심→양심, 류행→유행). 단어의 첫머리 이외에는 본음을 살린다는 내용도 덧붙여 있다(협력, 혼례). 따라서 ‘行列’의 ‘列’은 단어의 첫머리가 아니므로 본음을 살려 ‘렬’로 적어야 한다.   하지만 ‘죽 벌여 놓은 모양’을 의미하는 ‘나열(羅列)’의 ‘列’은 단어의 첫머리도 아닌데 왜 ‘렬’이 아닌 ‘열’로 써야 하는 걸까. 이것은 앞말이 모음이거나 ‘ㄴ’ 받침 뒤에서는 ‘렬’이 아닌 ‘열’로 적는다는 예외 규정 때문이다. ‘나열’은 앞말이 모음 ‘ㅏ’로 끝나므로 ‘렬’이 아닌 ‘열’로 적어야 한다.   이는 ‘列’뿐이 아니다. ‘律(법 율/률)’ ‘率(비율 율/률)’ ‘裂(찢을 열/렬)’ ‘烈(세찰 열/렬)’ ‘劣(못할 열/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비율(比率)’ ‘규율(規律)’과 같이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거나 ‘분열(分裂)’ ‘출산율(出産率)’처럼 앞말이 ‘ㄴ’ 받침으로 끝나면 ‘열, 율’로 적는다. ‘격렬(激烈)’ ‘취업률(就業率)’은 앞말이 모음이나 ‘ㄴ’ 받침으로 끝나지 않았으므로 ‘렬’ ‘률’로 쓴다.우리말 바루기 행렬 한글 맞춤법 첫머리 이외 협력 혼례

2024-01-07

[우리말 바루기] ‘행렬’로 쓰는 이유

여럿이 서 있는 줄을 가리켜 ‘행열’이라고 써야 하는 게 아닌가 하고 고개를 갸웃하는 사람이 있다. ‘行列’을 ‘행열’로 읽어야 할지, ‘행렬’로 읽어야 할지 헷갈린다는 이가 많다.   한글 맞춤법 두음법칙 조항을 보면 한자음 ‘랴·려·례·료·류·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 ‘야·여·예·요·유·이’로 적는다고 되어 있다(량심→양심, 류행→유행). 단어의 첫머리 이외에는 본음을 살린다는 내용도 덧붙여 있다(협력, 혼례). 따라서 ‘行列’의 ‘列’은 단어의 첫머리가 아니므로 본음을 살려 ‘렬’로 적어야 한다.   하지만 ‘죽 벌여 놓은 모양’을 의미하는 ‘나열(羅列)’의 ‘列’은 단어의 첫머리도 아닌데 왜 ‘렬’이 아닌 ‘열’로 써야 하는 걸까. 이것은 앞말이 모음이거나 ‘ㄴ’ 받침 뒤에서는 ‘렬’이 아닌 ‘열’로 적는다는 예외 규정 때문이다. ‘나열’은 앞말이 모음 ‘ㅏ’로 끝나므로 ‘렬’이 아닌 ‘열’로 적어야 한다.   이는 ‘列’뿐이 아니다. ‘律(법 율/률)’ ‘率(비율 율/률)’ ‘裂(찢을 열/렬)’ ‘烈(세찰 열/렬)’ ‘劣(못할 열/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비율(比率)’ ‘규율(規律)’과 같이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거나 ‘분열(分裂)’ ‘출산율(出産率)’처럼 앞말이 ‘ㄴ’ 받침으로 끝나면 ‘열, 율’로 적는다. 우리말 바루기 행렬 한글 맞춤법 첫머리 이외 협력 혼례

2022-10-1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